현대 건축의 아버지 르 코르뷔지에, 3대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

30여년 전 전공수업 시간에 교수님이 제게 질문하셨습니다. “르 코르뷔지에 현대 건축의 5원칙이 뭐야?” 아마도 제 기억에 의하면 수업시간에 가장 많은 질문을 받은 건축가가 바로 르코르뷔지에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대 건축의 3대 거장인 르 코르뷔지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현대 건축의 아버지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 본명 샤를 에두아르 잔느레, 1887-1965)는 스위스 출신의 건축가이자 도시 계획가로, 20세기 현대 건축의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그는 건축을 단순한 기술적 작업이 아닌 사회적, 철학적 문제로 보았으며, 이를 통해 건축과 인간 생활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했습니다. 특히 기능주의와 미니멀리즘을 건축에 도입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의 사상은 현대 건축뿐만 아니라 디자인, 도시 계획, 예술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초기 생애와 교육

르 코르뷔지에는 1887년 스위스의 라쇼드퐁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본명은 샤를에두아르 잔느레그리로, 나중에 ‘르 코르뷔지에’라는 예명을 사용하게 되니다. 이는 프랑스어로 “까마귀”를 의미하는 ‘corbeau’에서 유래한 것으로, 예술가로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상징합니다.

르 코르뷔지에는 어린 시절부터 예술과 공예에 관심을 보였으며, 라쇼드퐁에 있는 미술 학교에서 수학했습니다. 그는 주로 시계 제작과 관련된 디자인을 공부했지만, 건축에 대한 관심을 점차 키우게 됩니다. 1907년에서 1911년까지 유럽을 여행하며 여러 건축가와 도시를 탐방했으며, 특히 이탈리아와 그리스에서 고대 건축물들을 깊이 연구했습니다. 이 시기에 르 코르뷔지에는 건축에 대한 자신의 철학적 기초를 다지기 시작했습니다.

집은 살기 위한 기계이다

르 코르뷔지에가 건축계에 큰 영향을 미친 이유 중 하나는 그가 ‘집은 살기 위한 기계’라는 개념을 주창했기 때문입니다. 이 말은 건축이 단순히 미적인 것에 그치지 않고, 인간의 생활을 기능적으로 지원하는 도구여야 한다는 뜻 입니다. 그의 건축 철학은 기계 시대에 맞춰 건축이 어떻게 기능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돔-이노 시스템

그는 특히 집을 인간 생활을 위한 기계로 보며,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공간 구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를 위해 그는 ‘돔-이노 시스템’이라는 건축 구조를 고안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기둥과 슬래브로만 구성된 구조로, 벽이 건물의 구조적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자유로운 내부 공간 구성이 가능하게 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현대 건축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으며, 특히 대량 생산 가능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설계 방법으로 평가 받았습니다. 이 단순한 구조는 유럽의 건축을 송두리째 바꿔 놓았습니다.

현대 건축의 5원칙

  1. 필로티(Pilotis): 건물을 기둥 위에 세워 지면과 분리함으로써 공간의 자유를 제공.
  2. 옥상 정원: 평평한 지붕을 정원으로 활용.
  3. 자유로운 평면: 내부의 벽을 필요에 따라 배치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
  4. 수평으로 긴 창: 넓은 창을 통해 빛을 최대한 끌어들이는 설계.
  5. 자유로운 입면(Facade): 외관을 구조적 제한 없이 디자인 가능.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빌라 사보아’(Villa Savoye)는 이러한 철학을 잘 보여주는 건물입니다. 1929년에 프랑스 푸아시(Poissy)에 지어진 이 주택은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철학이 집약된 작품으로, 그가 제안한 다섯 가지 근대 건축 원칙을 완벽하게 구현하고 있습니다.

빌라 사보아는 이러한 원칙들을 모두 적용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현대 건축의 혁신적인 모델로 자리매김 했습니다.

도시 계획과 ‘현대도시 5개년 계획’

르 코르뷔지에는 건축뿐만 아니라 도시 계획에서도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했습니다. 그는 산업화와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는 20세기 초반의 도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현대도시 5개년 계획’(Ville Contemporaine)을 발표했습니다. 이 계획에서 르 코르뷔지에는 도시가 고밀도, 고층 건축물 중심으로 재편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계획은 도시 공간의 효율적 이용을 목표로 하며, 교통 체계의 개선과 녹지 공간의 확보를 중요한 요소로 삼았습니다. 특히 그는 건물들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햇빛과 공기가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도시 계획 철학은 이후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쳤으며, 특히 브라질의 수도 브라질리아 건설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찬사와 비판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과 도시 계획은 많은 찬사와 함께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는 근대 건축의 아버지로 칭송 받았으며, 기능성과 미니멀리즘을 중시하는 그의 디자인 철학은 많은 건축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현대 건축에 큰 기여를 했으며, 특히 그의 건축 원칙들은 지금도 많은 건축가들에 의해 응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그의 도시 계획은 비인간적이고 차가운 도시 환경을 조성한다는 비판도 받았습니다. 고층 빌딩을 중심으로 한 도시 설계는 인간의 감성을 배제하고, 기능성만을 강조한 나머지, 인간이 살아가는 환경으로서의 도시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르 코르뷔지에의 사상은 현대 건축의 중요한 이정표로 남아 있습니다.

유산과 영향

르 코르뷔지에는 생전과 사후에도 현대 건축과 도시 계획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 입니다. 그의 작품들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그의 건축 철학은 많은 건축가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그의 철학과 디자인은 전 세계의 여러 건축 학교에서 여전히 가르쳐지고 있으며, 특히 기능성과 미학의 조화를 중시하는 현대 건축 사조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또한 르 코르뷔지에는 건축 외에도 가구 디자인, 회화, 조각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했습니다. 그는 예술과 건축을 하나로 통합하려는 시도를 지속했으며, 이를 통해 총체적인 예술 작품을 만들어내고자 했습니다.

결론

르 코르뷔지에는 20세기 현대 건축의 기틀을 마련한 혁신적인 건축가였습니다. 그는 건축이 단순히 구조물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생활을 개선하고, 도시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가 되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그의 작품과 철학은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으며, 현대 건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학교 전공 수업시간에서 처음 교수님의 설명을 듣고 르꼬르뷔제란 건축가에 대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첫 인상은 동그란 안경을 쓴 독특한 인상의 할아버지였습니다. 3대 건축가란 설명에 유명한 사람이라고만 생각했는데, 과제로 그의 도서 중 하나인 ‘롱샹 성당’을 읽고 나서 그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습니다.

Ronchamp, France © Unsplash_Jana El Fahl

성당 중앙에서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해서 들어오는 빛을 느끼고 있는 제 자신을 보면서 언젠가는 롱샹 성당을 꼭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너무 위대한 사람이라 롤 모델까지는 아니지만 제가 열심히 과제를 하고 수업을 참여하는데 큰 도움을 준 사람은 맞습니다. 그 순간 순간이 모여서 오늘의 제가 있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다시 읽어보려고 책장을 하루종일 뒤졌는데 책이 없어졌네요. 이사하면서 없어졌는지 아니면 중고로 판매했는지 기억이 안납니다. 이제는 절판되어 중고로만 구입할 수 있는데, 가격이 너무 비싸서 구입할 엄두가 안납니다. 여러분도 혹시 기회가 되시면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르 코르뷔지에_언덕 위 수도원(중고)

다음글 : 북유럽 스타일 인테리어

design grey의 다양한 소식을 원하신다면 다른 채널을 둘러보세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