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능사 취득방법 및 자격요건
이번 글에서는 실내건축기능사 취득방법 및 자격요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격증은 해당 분야의 전문 지식을 인정하는 것으로 취업 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자격이 된다면 반드시 취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제가 신입사원 이력서를 검토할 때도 자격증이 있거나 공모전 수상이력이 있는 취준생의 경우 이력서를 좀 더 면밀하게 검토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실내디자인 분야에서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은 단계별로 준비되어 있으며 실내건축기능사는 비교적 난이도가 가장 낮은 자격증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한 번에 가장 높은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 보다는 단계별로 자격증을 취득해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자격 요건
실내건축기능사는 실내 공간 설계와 시공에 필요한 전문 기술을 인증하는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 실내건축기능사 자격증은 특별한 자격요건이 없어 누구나 응시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상위 자격증인 실내건축산업기사나 실내건축기사 응시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건이 필요합니다.
- 실내건축기능사 자격증 취득 후 관련 분야에서 1년 이상의 실무 경력
- 관련 직무분야 산업기사 등급 이상 자격증 보유
-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
취득 방법
실내건축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시험방식인 검정형 방법과 과정평가형 방법이 있으며 아래 설명을 참고하셔서 본인에게 유리한 시험 방법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검정형 방법
실내건축기능사 취득방법 중 검정형은 아래와 같이 필기와 실기 시험을 치러야 합니다.
- 검정형 방법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에 합격하여 자격을 취득하는 방식입니다.
- 필기시험은 객관식 4지 택일형입니다.
- 실기시험은 주어진 도면을 기준으로 평면도, 입면도, 천장도, 투시도 등 4개의 도면을 작성해야 합니다.
검정형 시험과목
구분 | 시험과목 | 문제형식 | 문항수 | 시험시간 |
---|---|---|---|---|
필기시험 | 실내디자인, 실내환경,실내건축재료, 건축일반 | 객관식 | 60문항 | 60분 |
실기시험 | 실내 건축 작업 | 작업형 | - | 약 5시간 |
검정형 합격기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의 합격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필기시험: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실기시험: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과정평가형 방법
과정평가형 방법에 대한 설명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과정평가형 방법은 교육과 훈련 과정을 이수한 후 내,외부 평가를 통해 자격을 취득하는 방식입니다.
-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며 과정평가형 자격은 산업현장 중심의 교육을 통해 우수 기술 인재를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과정평가형 자격 취득 절차
과정평가형 방법의 자격 취득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교육과정 이수
- 과정평가형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지정된 교육기관에서 실내건축 관력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합니다.
- 교육과정은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으로 운영되며 실무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집니다.
- 내일배움카드를 통해 무료로 수강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내부 평가
- 교육기관에서 진행하는 내부 평가를 통과해야 합니다.
- 이 평가는 교육과정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진행됩니다.
외부 평가
-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는 외부 평가를 통과해야 합니다.
- 외부 평가는 실무능력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합격 기준
- 내부 평가와 외부 평가의 결과를 1:1로 반영하여 평균 80점 이상을 받아야 합니다.
시험 일정
실내건축기능사 취득방법 중 일반 검정에 대한 자세한 것은 Q-net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실내건축기능사 취득방법 중 과정평가형에 대한 자세한 것은 CQ-Net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맺음말
실내건축기능사 취득방법은 기존의 검정형 시험만 존재했지만 2020년부터 과정평가형 제도가 도입되어 취득이 더욱 유리해졌다고 생각됩니다. 실내건축기능사 시험은 응시자격의 제한이 없고 과년도 기출문제가 공개되어 있으며 실기시험 문제를 풀이해주는 무료 동영상 등이 다수 공개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자료를 참고해서 꾸준히 습한다면 혼자서 독학으로도 합격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초보자들은 열심히 노력하셔야 합니다. 난이도가 쉽다고 해도 필기시험의 경우 평균 48.3%, 실기시험의 경우 57.9%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취업과 직업적 성공을 위해서는 실내건축기능사 취득이 목적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더 노력해서 자격을 갖춘 후 실내건축산업기사, 그리고 실내건축기사 취득을 최종 목표로 도전하셔야 됩니다.
저처럼 20여년 넘게 인테리어 업계에서 일을 해보면 신입사원 혹은 직원들의 일하는 모습을 보면 이 친구가 어느 정도까지 일을 쳐낼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듭니다. 자격증을 공부한다는 것이 단순히 직장을 구하는 수단이 아닌 직업을 구하는 나의 무기를 업그레이드한다는 개념으로 삼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글 : 반려동물 친화적 인테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