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인테리어 팁

식물 활용 실내 장식

이번 글에서는 식물 인테리어 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실내 장식에서 식물이 가지는 역할과 장점, 공간에 맞는 식물 추천, 그리고 식물 배치 및 관리 팁을 소개하겠습니다.

식물을 활용한 실내 장식, 일명 “플랜테리어”는 단순히 미적 감각을 높이는 것을 넘어 실내 공기 정화, 습도 조절, 심리적 안정감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현대인의 생활 환경이 실내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플랜테리어는 실내 장식 트렌드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실내 장식에서 식물의 역할과 장점

“플랜테리어”는 식물(plant)과 인테리어(interior)의 합성어로, 실내 공간을 식물로 꾸미는 것을 의미합니다. 플랜테리어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효과를 제공합니다:

공기 정화

식물은 미세먼지, 새집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유해물질,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주며 건강한 환경을 조성합니다.

습도 조절

식물의 증산작용을 통해 실내 습도를 20~30%까지 높일 수 있어 천연 가습기 역할을 하며 건조한 계절에도 쾌적한 공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 안정

초록색 식물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 감소와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으며 공간을 더욱 생동감 있게 만듭니다.

공간별 추천 식물

플랜테리어를 통해 실내 장식을 효과적으로 완성하기 위해서는 각 공간에 맞는 식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거실, 주방, 사무실 등 다양한 공간에 어울리는 식물과 그 특징을 소개합니다.

거실 

거실에는 몬스테라와 아레카야자가 적합합니다.

  • 몬스테라: 몬스테라는 큰 잎을 가진 실내 장식용 식물로, 공간을 넓어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공기 정화 능력도 뛰어나고, 관리가 비교적 쉬워 거실에 배치하기 좋습니다.
  • 아레카야자: NASA에서 공기 정화 식물 1위로 선정된 아레카야자는 유해 물질을 제거하고 천연 가습기 역할을 합니다. 거실의 전자 제품 근처에 배치하면 전자파를 차단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몬스테라 Unsplash_Kara Eads
© 아레카야자 Unsplash_feey

주방 

주방에는 허브나 스파티필룸을 배치하면 효과적입니다.

  • 허브(로즈마리, 바질): 허브 식물은 공기 정화뿐만 아니라 요리 재료로도 사용할 수 있어 실용적입니다. 특히 로즈마리와 바질은 작은 화분에 심어 주방 창가에 두면 빛과 공기가 필요한 식물로 잘 자라며, 주방을 상쾌하게 만들어 줍니다.
  • 스파티필룸: 공기 중의 아세톤, 벤젠 등을 제거하는 능력이 뛰어나 주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로즈마리 Unsplash_Zé Maria
© 스파티필룸Unsplash_feey

사무실 

사무실에는 산세베리아나 관음죽이 분위기를 바꿔주는데 좋습니다.

  • 산세베리아: 산세베리아는 관리가 매우 쉬우며, 음이온을 발생시켜 공기 정화에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공기가 건조하거나 좁은 공간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사무실에 적합한 식물입니다.
  • 관음죽: 관음죽은 낮은 조도에서도 잘 자라며, 실내 공기 정화 능력이 뛰어납니다. 병충해에 강해 사무실 같은 바쁜 공간에서도 관리가 쉬워 추천할 만한 식물입니다.
식물 인테리어의 사례를 보여주는 사진입니다. 거실 한쪽에 산세베리아 화분과 기타 여러 화분을 배치한 사진입니다.
© 산세베리아 Unsplash_Huy Phan
© 관음죽 Unsplash_feey

식물을 활용한 인테리어

실내 공간에 식물을 활용할 때, 단순히 식물을 두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식물의 배치와 관리 방법에 따라 플랜테리어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플랜테리어를 더 잘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 팁을 소개합니다.

높낮이를 달리한 배치 

식물을 배치할 때는 높낮이를 달리하여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큰 화분은 바닥에, 작은 화분은 테이블이나 선반에 두어 입체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천장에 걸 수 있는 플랜트 행어나 벽면에 선반을 설치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세요.

빛과 환기 고려 

식물은 종류에 따라 필요로 하는 빛과 공기가 다르므로, 이를 고려하여 배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햇빛이 많이 드는 거실 창가에는 몬스테라와 같은 빛을 좋아하는 식물을 두고, 빛이 부족한 주방 구석에는 스파티필룸처럼 적은 빛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을 선택하세요.

식물과 가구의 조화 

가구와 식물의 색감과 크기를 고려해 배치하면 인테리어의 완성도가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모던한 가구가 있는 공간에는 큰 잎을 가진 식물을 두어 부드러운 느낌을 더하거나, 화려한 색감의 화분을 이용해 포인트를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정기적인 관리 

플랜테리어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식물의 건강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각 식물의 물주기와 적정 온도를 확인하여 관리하세요. 물을 자주 주어야 하는 식물과 물을 자주 주지 않아도 되는 식물을 구분하여, 자신의 생활 패턴에 맞게 식물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복합 식물 배치 

여러 식물을 하나의 공간에 배치할 때는, 크기와 색상, 텍스처가 서로 다른 식물을 함께 두면 더 입체적이고 생동감 있는 인테리어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큰 잎의 몬스테라와 작은 허브 식물을 함께 배치하면 공간이 더욱 풍성해 보입니다.

맺음말

저희 집에도 아내가 관리하는 식물들이 많습니다. 매일 시간이 되면 창밖에 놓았다가 다시 들여놓기를 반복하고 또 베란다에 옮겨서 물을 주고 거실로 옮기기를 반복합니다. 마치 어린아이를 다루듯이 정성스럽게 화분들을 돌봅니다.

정기적으로 비료도 주고 관리하지만 잠깐만 실수를 하면 마르거나 잎이 시들어 죽습니다. 그럼에도 식물을 키우는 행위는 아내에도 소소한 즐거움을 주기에 오늘도 열심히 화분을 나르고 있는 아내의 모습을 보며 저도 같이 웃어봅니다.

식물을 활용한 실내 장식은 심리적 안정감, 공기 정화, 습도 조절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며, 실내 공간을 더욱 쾌적하고 아름답게 만들어 줍니다. 각 공간에 맞는 식물을 선택하고 적절한 관리와 배치를 통해 플랜테리어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여러분의 실내 공간을 자연과 함께하는 편안한 장소로 만들어보시길 바랍니다.

다음글 : 홈 오피스 인테리어 팁

design grey의 다양한 소식을 원하신다면 다른 채널을 둘러보세요

Leave a Comment